

윤미향 전 의원, 광복절 특별사면 논란 재점화! 30년 위안부 운동과 끝나지 않는 쟁점
정의기억연대 이사장 출신 인권운동가이자 전 국회의원인 윤미향 씨가 2025년 광복절 특별사면 및 복권 대상에 오르며 다시금 뜨거운 논란의 중심에 섰습니다. 위안부 후원금 횡령 논란과 이어진 재판, 그리고 사법부의 판단까지, 그녀의 파란만장한 삶과 활동을 둘러싼 다양한 이야기가 재조명되고 있는데요. 윤미향 전 의원을 둘러싼 논란과 특별사면 결정은 어떤 의미를 가질까요?


위안부 운동 30년, 인권운동가 윤미향의 발자취
윤미향 씨는 1964년 경상남도 남해에서 태어나 한신대학교 신학과와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학 석사 과정을 거쳤습니다. 1990년대 초 김학순 할머니의 증언을 계기로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정대협) 활동을 시작하며 인권운동가의 길을 걷게 되었습니다. 정대협의 간사, 사무국장, 사무총장 등 핵심 역할을 수행하며 위안부 운동의 역사와 궤를 함께 해왔습니다.

2015년 박근혜 정부의 한일 위안부 합의에 강하게 반대하며 정의기억연대(정의연)를 창립하고 이사장을 맡았습니다. 정의연 이사장으로서 일본군 성노예제 피해자 지원, 위안부 운동 국제화, 베트남전 양민 학살 등 다양한 국내외 인권 캠페인을 전개했습니다. 2020년 더불어시민당 비례대표로 제21대 국회의원에 당선된 후에는 여성·인권·사회복지·역사 관련 법안 발의, 위안부 왜곡 처벌법 등 여성 인권과 평화를 위한 의정 활동을 펼쳤습니다.
정의연 후원금 논란과 끝나지 않는 법정 공방
국회의원 당선 이후 윤미향 씨는 정의기억연대 후원금 회계 부정, 업무상 횡령, 기부금품법 위반 등 총 8개 혐의로 검찰에 기소되며 논란의 중심에 섰습니다. 2020년 이용수 할머니의 폭로 이후 불거진 의혹들은 법정 공방으로 이어졌고, 언론을 통해 부동산 명의신탁 의혹, 기부금 모집법 위반, 심지어 길원옥 할머니 치매 이용 준사기 의혹까지 제기되며 대중의 비판이 거세졌습니다.

길고 지난한 법정 공방 끝에, 사법부는 8개 혐의 중 대부분(최대 7개)에 대해 무죄를 선고하고, 일부 업무상 횡령 등 1개 혐의에 대해서만 유죄(징역 1년 6개월에 집행유예 3년)를 판단했습니다. 그러나 이 과정에서 민주당 출당 및 무소속 활동 등 당내외 정치적 갈등이 이어졌고, 윤미향 씨는 "기부금 대부분이 피해자 지원에 쓰였다"고 주장하며 인권·사회운동의 순수성을 끝까지 방어하려 했습니다. 재판부는 대부분 무죄를 선고했으나, 일부 유죄 및 사법부의 판단 지연으로 "지연된 정의", "운동의 명예훼손" 논쟁도 지속되었습니다.
2025 광복절 특사, 윤미향을 다시 소환하다
2025년 8월 광복절을 맞아 이재명 대한민국 대통령의 특별사면 대상에 윤미향 씨가 포함되었다는 소식은 큰 반향을 일으키고 있습니다. 이 결정은 정치적, 사회적으로 거센 논쟁을 불러왔으며, 위안부 운동 30년과 사법부 판단 사이에서 윤미향 씨의 사회적 의미와 명예가 다시 조명되고 있습니다.

일부에서는 그녀의 사면이 '명예 회복'의 기회라고 주장하는 반면, 다른 한편에서는 횡령 혐의 유죄 판결을 들어 비판의 목소리를 내고 있습니다. 윤미향 씨는 국내 위안부 피해자 운동을 30년 넘게 이끌며 '역사 치유의 상징'으로 평가받지만, 동시에 횡령·회계 논란으로 도덕성 논란과 대중 비판, 사법 신뢰 논쟁을 겪은 논쟁적 인물이기도 합니다. 그녀의 삶과 활동은 우리 사회에 '정의'와 '진실', '역사'와 '사법'이 어떻게 얽히고설키는지, 그리고 운동의 순수성과 도덕적 책임이라는 중요한 질문을 던지고 있습니다.
#윤미향 #정의기억연대 #광복절특별사면 #위안부운동 #횡령논란

